2015년 11월 24일 화요일

순천시 문화관광정보 전달체계 재구축 전략

순천시 문화관광정보 전달체계 재구축 전략
순천시문화관광정보전달체계재구축전략에관한연구.hwp


목차
. 서 론
. 문화관광정보 전달체계의 논의
. 순천시 문화관광정보 전달체계 분석

. 순천시 문화관광정보 전달체계 재구축 전략
. 결 론


본문
3. 전달체계의 한계
순천시 문화관광정보 전달체계가 갖고 있는 한계점으로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다양한 정보전달 매체간 체계화와 통합성이 낮다. 현재 순천시 문화관광정보 전달체계에서는 인터넷, 브로슈어(brochures), 서적(자료집), 방송, 축제 이벤트, 국내외 교류 등 다양한 매체가 활용되고 있다. 정보전달 매체와 유통경로의 통합성은 새로운 매체 개발 못지 않게 중요하다. 문화관광정보 전달매체의 통합성 문제는 정보의 신뢰성 및 일관성 결여, 정보전달의 비효율성,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왜곡과 혼선 등 여러 가지 문제를 파생시키기 때문이다. 둘째, 문화관광정보의 가치(value)와 질(quality)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물론 시정당국이 문화와 문화관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까닭에 다른 지역에 비해 문화관광정보의 질적 가치는 높다 할 수 있겠으나 관광 경험의 질을 높이고 정보 만족을 유발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최근 관광객은 관광목적지의 문화적 정체성(identity)과 문화체험을 위해 문화관광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현재 생산 유통되고 있는 문화관광정보의 가치와 질적 수준으로는 불충분하다 할 수 있다. 셋째, 문화관광정보 가치 및 질과 관련하여 문화적 사실(fact)을 생생한 문화관광정보로 재생산 수준이 낮다. 문화관광객은 그 지역의 문화유산과 문화유적에 대한 기록을 중심으로 문화관광정보를 얻기도 하지만 역사와 문화 속에 흐르고 있는 ‘생생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또한 관광객은 학술적 정보와 같은 딱딱한 정보보다는 문화 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문화관광정보를 통해 그 지역의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에서 순천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정보 매체의 부족은 지역 문화관광산업의 발전을 더디게 할 수 있다. 넷째, 문화관광정보의 생산 유통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참여가 높지 않다는 점이다. 지역주민의 참여는 문화관광정보를 유통할 수 있는 채널을 넓이는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지역주민은 문화관광산업의 부가가치 창출 과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문내용
nformation in Suncheon City
Ⅰ. 서 론
순천은 국가지정문화재 43점을 비롯 총 100점에 달하는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문화도시이다. 이러한 여건에 따라 지방자치 실시 이후 순천시에서는 문화도시 건설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 왔으며, 문화와 관광의 조화를 통한 문화관광산업 육성 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 순천시문화예술진흥조례 제12.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순천시에서는 문화도시 가꾸기와 관광산업 개발로 집약되는 문화예술의 생활화를 4대 시정목표의 하나로 설정하고 있다(순천시 내부자료, 2000). 더욱이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1999년 1월 15일 전국 기초자치단체로서는 최초로 순천시문화예술진흥조례를 제정한 바 있고, 이에 근거하여 1999년 10월 문화예술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하
문화관광,유통채널,시장차별화,일반학술자료,문화,역사,전략,정책,낙안 읍성 유물 조사
이 자료는 http://www.jisik-book.com에서 제공하는 유료자료입니다.